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공공체육시설 이용료도 소득공제 된다고?

by oksupapa 2025. 8. 23.
반응형

 


🏋️‍♂️ 2025년 공공체육시설 이용료 소득공제 확대

1. 제도 도입 배경 및 시행 시기

정부는 국민 건강 증진체육시설 접근성 향상, 그리고 가계 부담 경감을 위해 체육시설 이용료에 대한 소득공제 범위를 대폭 넓혔습니다.

  • 시행 시점: 2025년 7월 1일부터 적용
  • 핵심 변화: 기존 민간 헬스장·수영장 중심에서 → 공공체육시설까지 확대

👉 즉, 이제는 구립 체육센터, 시립 수영장, 주민운동시설 등 공공체육시설 이용료도 소득공제 대상이 됩니다.


2. 소득공제 대상 및 조건

2-1. 대상자

  • 총급여 7천만 원 이하 근로소득자
  •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영수증, 간편결제, 일부 지역화폐 등 등록된 결제수단 이용 시 적용

2-2. 대상 시설 (확대 포인트 강조)

구분 기존 2025년 7월 이후

민간 체육시설 헬스장, 수영장, 필라테스 등 그대로 유지
종합 체육시설 복합 스포츠센터 (수영+헬스 등) 그대로 유지
공공 체육시설 ❌ 적용 불가 구립·시립 체육센터, 주민운동장, 공공 수영장 등 신규 포함

👉 이로 인해 전국 약 1만7,300개 시설이 소득공제 대상에 포함됩니다.


3. 공제율 및 한도

  • 공제율: 체육시설 이용료의 30%
  • 연간 한도: 최대 300만 원
  • 적용 항목:
    • 입장료(일간·월간) → 전액 공제 가능
    • 입장료와 강습료 구분 불가 시 → 절반만 인정
    • 부대 소비(운동복, 음료 등) → 공제 제외

출처. 성동도시관리공단


4. 강좌(강습) 관련 유의사항

  • PT, 수영 강습 등 강좌 비용 자체는 공제 불가
  • 단, 입장료와 함께 묶여 결제되는 경우엔 일부 인정
    • 예: 수영장 입장권 + 강습료가 하나의 결제 금액일 경우 → 입장료 해당분만 공제 가능


5. 소비자 이용 방법

  1. 대상 시설 확인
    • ‘문화비 소득공제 누리집’에서 검색
    • 공공체육시설도 2025년 7월 이후 대거 등록 예정
  2. 결제 시 주의
    • 반드시 본인 명의 카드/간편결제로 결제
    • 현금 결제 시엔 현금영수증 발급 필수
  3. 연말정산 신고
    • 기존 ‘문화비 소득공제’ 항목과 합산 신고
    • 별도의 연 100만 원 문화비 한도와는 별도로 체육시설 소득공제 한도(300만 원)가 적용

6. 사업자(체육시설 운영자) 안내

  • 참여 신청 기한: 2025년 6월 말까지
  • 신청처: 한국문화정보원 운영 문화비 소득공제 누리집
  • 혜택:
    • 소비자에게 ‘소득공제 가능 시설’로 노출
    • 회원 모집에 유리 & 신뢰도 상승
  • 정부도 지자체 공문·온라인 안내 등으로 참여 독려 중

7. 정리

  • 시행일: 2025년 7월 1일부터
  • 대상자: 연봉 7천만 원 이하 근로소득자
  • 대상 시설: 민간 헬스장·수영장 → 이제 공공체육시설까지 포함!
  • 공제율/한도: 30%, 연 최대 300만 원
  • 강습료: 원칙적으로 제외, 단 입장료 포함 결제 시 일부 가능
  • 소비자 Tip: 시설 등록 여부 확인 후 카드·현금영수증 결제 필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