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대왕고래'실패와 액트지오 논란 관련주 하락...이번엔 마귀상어?

블로그

by oksupapa 2025. 2. 8. 13:51

본문

반응형

사진 한국석유공사

'대왕고래' 프로젝트 실패와 액트지오 논란

최근 한국석유공사가 추진했던 '대왕고래' 프로젝트가 실패로 돌아가면서, 해당 프로젝트의 유망성을 평가한 미국 업체 '액트지오(Act-Geo)'가 논란의 중심에 섰습니다.


📌 '대왕고래' 프로젝트란?

'대왕고래'는 울릉분지 인근에서 석유와 천연가스를 발굴하기 위해 추진된 대규모 시추 프로젝트입니다. 한국석유공사는 이 사업을 위해 미국 업체 액트지오에 용역을 맡겼고, 약 40억 원의 비용을 지급했습니다. 액트지오는 해당 지역에 석유·가스가 매장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평가를 내놓았으나, 실제 시추 결과 경제성이 없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이로 인해 액트지오의 신뢰성이 논란이 되었고, 이 업체가 어떤 배경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 1인 기업? '액트지오'의 실체

더욱 논란이 되는 점은, 액트지오가 미국 텍사스의 가정집을 주소지로 둔 1인 기업이라는 것입니다.

액트지오는 이번 '대왕고래' 프로젝트뿐만 아니라, 최근 울릉분지의 '마귀상어' 유망구조에 대해서도 51억 배럴 이상의 석유·가스가 매장되어 있을 가능성을 제안하며 추가 용역을 수주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업체의 규모와 신뢰성을 고려할 때, 이러한 평가를 신뢰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정부의 대응과 새로운 분석 업체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실패 이후, 정부는 시추 데이터를 정밀 분석하기 위해 미국의 지질구조 분석 업체 '코어랩(Core-Lab)'과 우선협상을 진행 중입니다. 코어랩은 데이터 분석 전문 기관으로, 액트지오와 달리 신뢰성이 높은 업체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액트지오는 데이터 분석 기관이 아니기 때문에 이번 협상 대상에서 제외되었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이는 한국석유공사가 더 신뢰할 수 있는 업체를 통해 분석을 진행하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국가 예산 낭비 논란

이 사건은 국가 예산이 투입되는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파트너 선정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 전문성이 부족한 업체를 선정했을 경우, 국민의 세금이 낭비될 위험이 크다는 점
✔️ 정부 기관과 기업 간 계약 체결 시 투명성과 검증 절차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는 점

최근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첫 시추 결과 경제성이 부족하다는 발표로 인해,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였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투자자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으며, 관련 종목들의 변동성을 높였습니다.


📉 '대왕고래' 프로젝트 관련주

'대왕고래' 프로젝트가 실패로 돌아가면서 관련 주식들이 급락하였습니다. 대표적인 관련주로는 다음과 같은 종목이 있습니다.

  1. 한국석유 (004090) - 한국석유공사의 프로젝트와 연관성이 있어 변동성이 커짐
  2. SK이노베이션 (096770) - 국내 석유·가스 탐사와 관련하여 영향을 받는 종목
  3. GS에너지 관련주 - 석유 및 가스 사업과 연결된 주요 기업들
  4. 석유 시추 장비 관련주 - 국내외 시추 프로젝트에 공급하는 기업들

이러한 주식들은 '대왕고래' 프로젝트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했던 만큼, 이번 실패로 인해 주가가 조정을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향후 정부의 추가 대응과 대체 프로젝트 여부에 따라 변동성이 지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 관련 영상 및 기사

더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아래 기사와 영상을 참고하세요.

유튜브 영상 - '대왕고래' 찍어주고 40억 챙긴 액트지오, 이번엔 '마귀상어'

 

 


✅ 결론

'대왕고래' 프로젝트 실패와 액트지오 논란은 국가 차원의 대규모 사업이 철저한 검증 없이 진행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또한, 이번 프로젝트와 관련된 기업들의 주가 변동성이 심화되면서 투자자들도 리스크 관리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앞으로 정부와 관련 기관이 이러한 문제를 반복하지 않도록 더욱 철저한 검토와 관리를 해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